PePe Chat

우리 고양이 눈이 뿌옇게 보여요: 고양이 백내장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usefulchat 2025. 6. 18. 23:21
728x90
SMALL

반려묘가 나이가 들어가면서 예전 같지 않다고 느낄 때가 있습니다. 소파에 뛰어오르기를 망설이거나, 어딘가 조심스럽게 걷는 모습이 보인다면 눈 건강을 한 번쯤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10살이 넘은 노령묘의 눈이 뿌옇거나 흐릿하게 보인다면 백내장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고양이 백내장이 완전한 실명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지만, 세상을 보는 데 불편함을 줄 수 있기에 보호자의 세심한 관심이 중요합니다. 오늘 고양이 백내장에 대해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백내장이란 무엇일까요?

 

백내장은 눈에서 카메라 렌즈 역할을 하는 ‘수정체’가 하얗고 혼탁하게 변하는 질병입니다. 수정체가 흐려지면 빛이 시력 세포가 모여있는 망막까지 제대로 도달하지 못해 시야가 점점 흐려지게 됩니다.

처음에는 작게 시작하지만, 점차 커지면서 시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물론 모든 백내장이 계속 진행되는 것은 아니며, 작은 상태로 유지되기도 합니다. 다행히 고양이는 약간의 시력 저하에는 금방 적응하는 편입니다.

** 잠깐, '핵경화증'과는 달라요!**

나이가 들면서 수정체가 자연스럽게 변화하는 '핵경화증'이라는 상태도 있습니다. 백내장처럼 눈이 뿌옇게 보이지만, 시력에 큰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는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핵경화증은 보통 양쪽 눈에 동시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양이 백내장은 왜 생길까요?

 

백내장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하지만 유전적인 요인이나 다른 질병 때문에 젊은 나이에도 생길 수 있습니다.

  • 유전적 요인: 히말라얀, 버만, 페르시안, 벵갈, 러시안 블루 같은 특정 품종은 유전적으로 백내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다른 품종보다 높습니다. 이 경우 5살 미만의 어린 나이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 외상 및 염증: 머리를 다치거나 눈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졌을 때 백내장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 등 다른 질병으로 인해 눈에 염증이 생기는 것도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 당뇨: 사람이나 강아지는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백내장이 오는 경우가 많지만, 신기하게도 당뇨를 앓는 고양이는 백내장에 대한 저항력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백내장, 어떻게 진단하고 치료하나요?

 

고양이의 눈이 흐려 보인다면 동물병원에 방문하여 정확한 검사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수의사는 안과 검사를 통해 백내장을 진단하고, 필요한 경우 안과 전문 동물병원에 의뢰할 수 있습니다.

백내장의 가장 이상적인 치료법은 수술입니다. 문제가 생긴 수정체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인공 수정체를 삽입하여 시력을 회복시켜주는 방법입니다. 다만 수술 후에는 일정 기간 눈을 보호하기 위한 넥카라 착용과 꾸준한 안약 점안 등 보호자의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만약 한쪽 눈에만 백내장이 있고 다른 쪽 눈의 시력이 괜찮다면, 수의사와 상의하여 수술 없이 지켜보는 선택을 할 수도 있습니다. 백내장 자체는 통증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고양이가 한쪽 눈으로도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느끼지 않는다면 수술이 필수는 아닐 수 있습니다.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위험할까요?

 

치료되지 않은 백내장은 녹내장이라는 무서운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백내장으로 약해진 수정체가 제자리에서 벗어나 안구 내부의 액체 순환을 막는 경우인데요, 이때 안압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망막 세포가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습니다.

녹내장은 심한 통증을 동반하기 때문에 고양이가 눈을 잘 뜨지 못하고 찡그리거나, 눈이 충혈되는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이 보인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우리 고양이, 백내장을 예방할 수 있을까요?

 

아쉽게도 백내장을 막는 확실한 자연 요법이나 가정 요법은 아직 없습니다. 하지만 백내장 발병 위험을 낮추기 위해 보호자가 노력해 줄 수 있는 부분은 분명히 있습니다.

가장 좋은 예방법은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 균형 잡힌 식단: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양질의 식단은 눈 건강을 포함한 전반적인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 안전한 실내 생활: 고양이를 실내에서 키우는 것은 교통사고와 같은 외상의 위험을 크게 줄여줍니다.
  • 건강 관리: 헤르페스나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처럼 눈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 접종과 정기적인 건강 검진으로 관리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랑하는 반려묘의 눈이 예전 같지 않다고 느껴진다면 너무 걱정부터 하기보다는,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동물병원을 찾아 상담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보호자의 따뜻한 관심과 빠른 대처가 반려묘의 편안하고 행복한 세상을 지켜줄 수 있습니다.



 

이글은 링크의 기사를 참고하였습니다.

https://petnhuman.com/pet-life/cats-life/814/%ea%b3%a0%ec%96%91%ec%9d%b4-%eb%b0%b1%eb%82%b4%ec%9e%a5-%ea%b3%a0%ec%96%91%ec%9d%b4-%eb%88%88-%ec%83%81%ed%83%9c%ec%97%90-%eb%8c%80%ed%95%b4-%ec%95%8c%ec%95%84%ec%95%bc-%ed%95%a0-%eb%aa%a8%eb%93%a0/

 

고양이 백내장: 고양이 눈 상태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 PET and HUMAN

By Deb M. Eldredge, DVM 고양이가 조심스럽게 움직이고, 카티오에서 밖에 나가기를 주저하거나, 좋아하는 의자에 뛰어오르는 것을 본다면, 백내장이

petnhuman.com

 

728x90
반응형
LIST